1. 서론 및 학습목표
→ 통합관리 하고자 하는 IT 프로젝트 관리 대상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
→ 통합관리를 위한 관리 체계를 정의하고, 관리를 위한 세부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다
→ 프로젝트 계획 수립을 위한 주요사항과 S/W 개발 방법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
→ 식별된 통합관리 대상 요소를 관리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
2. 프로젝트 통합 관리 개요
→ 통합관리란?
A. 프로젝트 진행의 다양한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각각 정의, 정리하는 관리 활동을 말한다
- 즉, 단일화하고 결합하여 조정을 이루어가는 데 필요한 프로세스 및 활동
→ 프로젝트에서 통합의 의미
- 요구사항 만족
- 기대치 관리
- 프로세스 체계적 단일화
- 프로젝트 관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통합
- 자원 & 노력을 어느 곳에 집중시킬 지 결정
- 잠재적인 문제점 예상 & 영향 받기 않게 관리
- 전체 프로젝트에 도움이 되게끔 조정
→ 통합 관리 대상
- 범위 관리
: 이해관계자의 기능적 요구사항 &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범위를 정의하고 기준선 확립 & 변경 지속적 추적 및 관리
- 일정
: 수행 조직의 상황에 적합한 표준 공정 정의 & 각 작업 수행의 시간, 자원 할당함으로서 전체 일정 수립
: 일정에 따른 진도 파악, 조정 및 관리
- 원가
: 원가를 기준선에 맞게 통제
- 인적 자원
: 인력 조직화 & 참여 인원 세부적 배치
- 품질
: 품질 정책, 목적, 책임 등 결정
- 위험
: 관련된 위험 도출 및 계획, 식별, 분석, 대응 및 통제
- 의사소통
: 다양한 이해관계자 식별하여 요구사항 해결
- 조달
: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서비스 & 제품 조달하기 위해 공급업체 발굴, 선정, 관리
- 변경
: 개발한 시스템을 정착 & 안정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& 저항 미리 예견
: 정보 시스템 활용법을 사용자들이 습득 & 내재화 지원
- 성과
: 프로젝트 성과물이 프로젝트에 근본적인 목표에 도달하도록 프로젝트의 성과지표 정의 & 성과물 꾸준히 측정 및 관리
3. 통합 관리 프로세스 정립
[1] 통합 관리하고자 하는 IT 프로젝트 관리 대상 요소 식별
** 앞서 언급한 통합 관리 대상 분류별 자세한 프로세스
[2] 통합 관리를 위한 관리 체계 정의
**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
**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 정의
→ 착수 프로세스
- 초기 범위 정의, 초기 재원 충당
- 이해관계자 식별
- PM 선임 (if not selected)
- 공식적으로 승인
- 목표 세우기
- 복잡한 대규모는 세분화
- 후원자, 고객, 그 외 다른 이해관계자들 참여 시 성공기준에 대한 공감대 형성 & 참여 비용 절감
- 새로운 사업 타당성 평가 위해 대안 평가 프로세스 수행 가능
→ 계획수립 프로세스
- 전체 업무 벙위 설정, 목표 정의 및 구체화
- 프로젝트 생명 주기에 걸쳐 중대 변경 발생 시 계획 수립 프로세스 재검토 필요 (점진적 구체화)
- 전략과 전술도 상세히 설명
- 변경 승인으로 인한 갱신이 상당한 영향 끼칠 가능성
- 초기 기획 작업 끝낼 시점 명시
→ 수행 프로세스
- 프로젝트 사양에 맞게 완료
- 수행하는 동안 계획 갱신 및 수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
- 예산 상당 부분이 수행하는 데 지출
→ 통제 프로세스
- 진행 상황과 성과 추적, 검토 및 조정
→ 종료 프로세스
- 정의된 모든 프로세스가 완료되었는 지 검증
-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(PMIS), 고객 인수 등 여러 활동 수행될 수 있음
** 통합 관리를 위한 세부 프로세스 정립
4. 프로젝트 계획 수립 개요
→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총괄 계획서를 작성하는 프로세스로, 각 단계에 따라 요구되는 보조계획을 정의하고 관련 내용을 작성하고 이를 통합 및 조정함으로써 프로젝트 전 과정에 대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프로세스
→ 주요 이점: 모든 프로젝트 작업의 기준을 정의하는 기본 문서가 준비
- 프로젝트를 실행, 감시, 통제 및 종료 정의
- 내용은 프로젝트 응용분야 & 복잡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
→ 실제로 작업을 수행할 '수주사'에서 작성하는 문서로, 발주사에서 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젝트 관리 계획을 각 영역별로 정리한 문서
*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
{1} 서론
→ 프로젝트 개요, 주요 일정, 관리 계획 변경, 참조 문서, 약어/용어 정의
{2} 프로젝트 구성
→ 산출물 계획, 목록, 조직 구성, 조직 경계 및 인터페이스 상위 보고 절차, 모니터링 및 관리
{3} 관리 공정
→ 관리 목표 및 우선순위, 채용 및 인력 할당 계획, 교육 계획 등
{4} 기술 계획
→ 개발 방법론 및 경로, 관리, 시스템 개발 분석 등
{5} 기타
→ 작업 단위, 스케줄 및 예산 계획
* SW 개발 방법론 *
→ 정보 공학 방법론
' 데이터 중심의 기업 정보 시스템 구축 방법론 '
- 기업의 정보 시스템 구축 위해 전 과정 정형화시킨 절차 및 방법론
- SIS 초점, ISP(information strategy planning) 중심, 데이터 중심, 분할과 정보 (top-down 방식)
→ 컴포넌트 기반 방법론 (Component Based Development)
* Component =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위 기준의 SW module (독립적)
- 다양화, 복잡도 증가하면서 부품 조립방식의 컴포넌트 개발
- 재사용성) 여러 app에서 반복적으로 재사용 가능 (실행 module 단위의 재사용)
- 대체성
- 즉, 요구사항이 변하더라도 영향을 받는 부분을 식별하여 손쉽게 다른 부품으로 대체가 가능하다
- 요구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
- 두 방법론들의 필수적인 산출물들은 이해당사자의 검토 및 확인에 대한 산출물
- 각 개발 방법론별 산출물 (⭐⭐)
5. 프로젝트 계획 수립 실행
[1] 식별된 통합 관리 대상 요소를 관리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한다
→ 요구사항을 수집한 후 과업의 범위 식별
- 과업의 범위 > 제안 요청서, 제안서의 추가 제안 내용, 기술 협상 결과
- 과업 대비표 활용하여 작성
→ 납품할 산출물 정의 및 제출 계획 작성
→ 작업분할구조(WBS)를 작성한다
- 관리하기 편하게 분할한 산출물 중심의 프로젝트 요소 집합 작성
- 프로젝트 생명 주기의 여러 단계를 분할의 최초 수준으로 이용
- 두 번째 수준에서는 프로젝트 산출물을 반복적으로 분할
→ 예산을 산정 & 확정
- 일반적으로 S/W 개발 분야에서는 기능점수(FP)에 의해 산정
→ 수행 조직 구성 & 투입 인력 계획 작성
- 개발 분야별 투입 인력에 대한 투입 M/M(Man Month) 작성
→ 품질관리 계획 수립
- 시스템 객관성 & 신뢰성 유지 목적
→ 의사소통 계획 수립
- 정기, 비정기, 단계별 보고
- 위험 사항에 대해 수시로 보고
→ 위험 관리 절차 정의 후 초기 위험 식별
- 위험 분석 절차 정의) 발생확률 분석 방법, 영향력 분석 방법, 위험 노출도에 따른 위험 등급 결정
- 위험 노출도 = 발생 가능성 * 영향력
- 위험 등급
- 식별된 위험 분석 예)
- 이에 따른 위험 대응 계획 수립
→ 구매 제품별 인도 일정 정의
- 장비 도입 절차, 설치 일정 정의
→ 변경 관리 절차 정의
- 변경 절차 사례 -
→ 프로젝트 일정 수립
- 단계별 일정 계획 작성
- 일정 계획 작성 (WBS를 기간 단위로 나누어 작성 - 성과 관리를 위한 일정 기준선)
→ 성과 측정 기준 및 방법 정의
- 범위 기준선, 일정 기준선, 인력 기준선
- 활동별 성과 측정 방법 정의
[2]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작성
** 프로젝트의 규모, 특성 등에 따라 통합, 조정, 생략 가능
* 출처) 2021 공공데이터 청년인턴(일경험수련생) 전문교육 '일잘러를 위한 IT 프로젝트'
'IT knowledge > (etc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통합] 프로젝트 통제하기 (0) | 2022.03.29 |
---|---|
[통합] 프로젝트 수행하기 (0) | 2022.03.28 |
[기획] 사업 발주하기 (0) | 2022.03.26 |
[기획] 제안 요청서 작성하기 (0) | 2022.03.26 |
[기획] 사업계획 수립하기 (0) | 2022.03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