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통합관리]
→ 프로젝트 계획 수립하기
→ 프로젝트 수행하기
** 학습목표
→ 수집된 의사결정 사안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
→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관리를 위한 대안을 검토하고 게시할 수 있다
→ 각 관리대상요소 간 상충되거나 중복된 의사결정사안에 대하여 조정하고 통제할 수 있다
1. 프로젝트 통제
=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에 정의된 성과 목표 달성을 위해 추적 & 검토 & 보고
→ 현재 상황, 수행 단계, 예산, 일정 및 범위 등을 수집, 측정, 분석 (이해관계자에게 제공) 이후 후속 조치, 조치 재계획
→ 먼저 프로젝트 관리 계획 & 실제 성과 비교
→ 성과 평가 후 분석 & 필요 시 시정 및 예방 조치
[1] 프로젝트 미래 예측
→ 총예산 (BAC: Budget At Completion)을 토대로 완료 시점의 가치 예상 가능
- 프로젝트에 할당된 예산 & 완료 시점까지의 총 누적 계획 가치(PVC; total cumulative PV at completion)
→ 완료 시점 산정치(EAC; Estimate At Completion)
= 현재 시점에서 예상할 수 있는 종료 시점에서의 총 원가
✋ 제 1법) EAC = BAC / CPI - 종료시점의 예산을 원가성과지수(CPI)로 나누어 완료 시점 산정치 계산
(현 시점까지 원가 변이가 발생하지 않았고 이의 추세가 완료 시점까지 계속될 것이라 예상되는 경우 적용)
✋ 제 2법) EAC = AC + (BAC-EV) - 지금까지 발생한 실제원가 AC의 누계에 잔여 예산(종료시점예산에서 획득가치를 차감한 것)을 더해서 완료 시점 산정치를 계산
(현 시점까지 원가 변이 발생했지만, 향후에는 전혀 발생 안할 것으로 예측할 경우)
✋ 제 3법) EAC = AC + (BAC-EV) / (CPI+SPI) - 잔여예산을 현재 시점까지의 일정 및 원가성과지수(CPI+SPI)로 보정한 것을 지금까지 발생한 원가 AC의 누계에 더해서 완료 시점 산정치를 계산
(현 시점까지 원가 변이가 발생하였고, 이 같은 추세가 향후에도 프로젝트 완료 시점까지 계속해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적용)
✋ 제 4법) EAC = AC + 새로운 ETC - 지금까지 발생한 실제 원가 AC의 누계에 완전히 새롭게 다시 추정한 잔여분 추정치(Estimate To Complete)를 더해서 완료 시점 산정치 계산
(현 시점까지 사용한 산정치, 프로젝트 기준선이 근본적으로 잘못된 경우 적용)
(+) 제 1법 예제)
→ 제 1법 ex) 실제 원가가 56억원이고 원가 성과 지수가 0.89이면, 완료 시점 산정치는 63억원 (56억원 / 0.89) + 현재 시점에서 예측하면, 프로젝트가 종료될 때 프로젝트의 총원가는 63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
→ 잔여분 산정치(ETC) = EAC - AC
= 프로젝트가 완료되기 위해서는 현재 시점 이후에 얼마나 더 많은 원가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지 예측한 것
→ 완료 시점 변이(VAC) = BAC - EAC
= 프로젝트 원래 예산에서 종료 시점 추정치를 차감한 것
- VAC < 0) 종료 시 예산을 초과할 것
- VAC > 0) 예산 범위 내에서 종료될 것
[2] 위험
→ 미래를 예측하였다면 새로운 위험 식별 & 기존 프로젝트 위험 분석 & 위험 식별, 상태 보고, 적절한 위험 대응 계획 실행
→ 추적 및 감시를 통해 통제
1) 위험 대응 계획의 이행 여부 & 효과 평가
2) 프로젝트 가정 변경 여부 확인
3) 위험 노출도 모니터링
4) 위험 관리 프로세스 준수 여부 평가
5) 신규 위험 발생 여부 확인
→ 승인된 변경 사항에 대해 수행 여부 감시
→ 프로그램 관리 부문에 보고 - 진행 상황과 상태
2. 프로젝트 분석, 평가 조정 및 통제
1) 수집된 의사결정 사안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한 후 통합 관리를 위한 대안 검토 & 제시
→ 프로젝트 성과 분석을 기준으로 프로젝트 예측
- 진척률 기준 프로젝트 예측
ex)
- 총 예산 BAC = 100M/M (100명이 한 달간 작업하면 끝낼 수 있음을 감안하여 금액이 측정됨)
- EAC(실제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인력) = BAC/CPI = 100/0.75 = 134M/M (134명이 한 달간 작업하면 완료)
※ 그러나, 어느 정도 프로젝트가 진행한 case이기에 지금까지 진행된 것을 토대로 프로젝트 완료 시점 분석하기
- ETC(프로젝트 완료까지 필요한 인력) = EAC - AC = 134 - 12(실제 투입 인력) = 122
(즉, 현 시점부터는 122명이 한 달간 작업을 수행하면 완료할 수 있다는 뜻)
- VAC(완료 시점에서의 인력 편차) = BAC - EAC = 100 - 134 = -34
(해당 프로젝트는 완료에 34M/M가 초과 투입 예상)
→ 작업 성과에 대하여 품질 통제 활동 수행
ex) 위 항목 중 '요구사항 반영률'을 통해 품질을 평가한 결과표이다
→ 위험 식별, 상태 보고, 적절한 위험 대응 계획 실행 등이 이루어지도록 보장한다
- 새로운 위험 식별) 요구사항 + 일정 + 기술 부문에서 찾기
- 새로운 위험 분석
ex) 위험 분석 예
→ 새로운 위험의 대응 계획 수립
ex) 대응 계획 수립 예
2) 각 관리 대상 요소 간 상충되거나 중복된 의사결정사안에 대하여 조정하고 통제한다
* (일정 지연)
→ 지연 정도에 따라 관리 계획서의 일정 관리 계획의 대처 방안에 따라 추진
- 5% 미만일 경우) 프로젝트 내 비상 계획 가동
- 5 ~ 10%) 전사 지원 체계 가동
* (변경 요청)
→ 그 내용에 따라 처리 기준에 의거 통제
- 1급 변경) 원가, 일정 또는 기술적 성능에 영향을 주는 변경
- 2급 변경) 프로젝트나 제품에 영향을 주는 경미한 변경
→ 기 식별된 위험에 대한 재분석을 통해 재평가
- 기 식별된 위험에 대해 재산정하여 대응한다
→ 단계별 납품할 산출물을 통제한다
ex) 납품 통제 예시
* 출처) 2021 공공데이터 청년인턴(일경험수련생) 전문교육 '일잘러를 위한 IT 프로젝트'
'IT knowledge > (etc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일정] 선후관계 설정하기 (0) | 2022.03.30 |
---|---|
[일정] 공정 정의하기 (0) | 2022.03.30 |
[통합] 프로젝트 수행하기 (0) | 2022.03.28 |
[통합] 프로젝트 계획 수립하기 (통합관리 - 계획수립) (0) | 2022.03.27 |
[기획] 사업 발주하기 (0) | 2022.03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