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번 시간 - [통합] 프로젝트 계획 수립하기 (포스팅 ↓↓↓↓)
≫ IT 프로젝트 수행 시 관리 대상 요소 간 상충 또는 누락, 중복되는 의사결정 사안을 파악할 수 있다
≫ 유형별로 파악된 의사결정 사안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
≫ 유형별 의사결정 사안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
1. 프로젝트 수행
*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에 정의된 작업을 수행하고, 승인된 변경 사항을 구현하며 프로젝트 작업을 전반적으로 관리한다
→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 수행
→ 계획된 프로젝트 작업을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젝트 인도물 생성
→ 프로젝트에 할당된 팀원 구성, 교육 및 관리
→ 자원 획득 및 자원의 관리와 사용
→ 계획된 방법과 표준 구현
→ 프로젝트 의사소통 채널 구축 및 관리
→ 원가, 일정, 기술 및 품질 진행 상황, 상태 등의 작업성과 데이터 생성
→ 변경 요청 제출, 승인된 변경 사항 반영
→ 위험 관리 및 위험 대응
→ 판매자 & 공급자 관리
→ 이해관계자 & 참여자 관리
→ 교훈 수집, 문서화, 프로세스 개선 제안 및 구현
→ 승인된 변경사항 구현 - 변경사항이 승인되면 시정, 예방, 수정 및 갱신
* 성과 보고서 유형
→ 상태보고서 (status report): 프로젝트의 현재 상태
→ 진척보고서 (progress repot):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성과 추이 정보
→ 예측보고서 (forecasting report): 미래상황 & 성과에 대한 예측
→ 변이보고서 (variance report): 계획 대비 실적의 차이 보고서
* 성과 측정 분석
→ 계획가치(PV; Planned Value)
= 계획상으로 현재 시점에서 완료하기로 예정되었던 작업의 산정 가치
= BCWS(Budgeted Cost of Work Scheduled)
- WBS의 활동이 지정된 시점까지 완료하도록 계획된 작업에 대한 산정 가치
ex) 10일 동안 a,b,c 작업을 수행하고, 각 작업에 1000원을 배정했다면 계획가치는 3000원!
→ 획득가치(EV; Earned Value)
= 계획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까지 실제로 완료한 작업의 산정 가치
= BCWP(Budgeted Cost of Work Performed)
ex) 10일 동안 a,b만 작업을 완료했다면 획득 가치는 2000원
→ 실제원가(AC;Actual Costs)
= 현재 시점까지 실제로 완료한 작업에 대한 실제 발생한 원가
= ACWP(Actual Cost of Work Performed)
- 획득가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발생된 실제 원가
ex) 실질적으로 a작업을 수행하는 데 1000원, b작업에는 1200원이 소요되었다면 실제원가는 2200원
→ 일정변이(SV; Schedule Variance)
= 획득가치 EV - 현재가치 PV
- 일정변이가 +이면 일정단축, -이면 일정 지연
→ 원가변이(CV; Cost Varaince)
= 획득가치 EV - 실제원가 AC
- 원가변이가 +이면 원가감소, -이면 원가초과
→ 원가성과지수(CPI; Cost Performance Index)
= 획득가치 EV를 실제원가 AC로 나눈 값
- 원가성과지수가 1이상이면 고생산성, 1이하이면 저생산성
→ 일정성과지수(SPI; Schedule Performance Index)
= 획득가치 EV를 계획가치 PV로 나눈 값 (SPI = EV/PV)
- 일정성과지수가 1보다 작으면 일정 지연, 1과 같으면 일정대로 진행, 1보타 크면 일정보다 앞섬
2. 모니터링 및 데이터화
*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는 모니터링 필수 / 데이터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!
[1] IT프로젝트 수행 시 관리 대상 요소 간의 상충 또는 누락, 중복되는 의사결정사안을 파악 및 모니터링한다
1) 요구사항에 대한 승인된 변경을 반영하고 변경 요청 발생 시 변경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
→ 과업대비표
- 과업의 범위를 식별한 문서
- 요구사항 별 요구사항ID와 요구사항명이 정의되는 문서
→ 요구사항 정의서
- 과업대비표 구체화
- 설계가 가능한 수준으로 요구사항 구체화
→ 일정계획
- 추가, 변경, 삭제되는 요구사항: 일정계획에 반영
→ 변경관리대장
- 모든 변경 관련 사항은 승인 여부에 상관없이 추적, 관리 되어야 하므로 반영
- CCB(Change Control Board) 변경통제위원회 -
→ 요구사항 추적표
- 과업 대비표에서 식별된 요구사항은 요구사항 추적표에서 추적 관리한다
2) 승인된 일정 변경은 일정계획에 반영하고 변경 요청 발생 시 변경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
3) 승인된 인력 변경 - 일정계획의 수행 인력에 반영
- 인력 투입 기준선은 제안서의 투입인력
- 투입인원, 투입 M/M는 발주 기관의 승인 하에 변경
- 투입 인력에 대한 변경 절차는 계약 특수조항에 기술
4) 승인된 산출물은 관련 계획에 반영, 변경 요청 발생 시 변경 요청서 작성
5) 발견된 결함 수정 & 계획된 품질 보증 활동
- 단위 시험, 통합 시험, 시스템, 인수 시험 등 실시
- 실시 이후 결함을 발견하면 결함 관리 대장 기록, 추적, 관리
6) 위험 & 이슈는 지속적인 확인 및 절차에 따라 수행
- 위험) 아직 발생하지 않았으나 내재되어 프로젝트에 긍정/부정 영향 미칠 수 있는 사건
- 이슈) 이미 발생되어 프로젝트에 영향 미치고 있는 사건
[2] 유형별 모니터링 결과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한다
* 이제 모니터링이 끝났으니 데이터화 해보자!
1) 주(월)간 실적 및 차주(월) 수행 활동을 작성한다
2) 인력 투입 실적을 데이터화한다
- 인건비가 개발 원가의 핵심 (투입계획 = 계획가치 PV)
- 투입 인력이 성과 측정 기준선 (투입인력 = 실제비용 AC)
3)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에 정의된 산출물의 작성결과를 데이터화한다
4) 진척률을 산정하고 프로젝트를 예측한다
ex)
- PV(계획된 투입 인력) = 100/10 M/M = 10
- EV(수행된 활동에 대한 계획된 인력) = 36/4(1M/M가 4개의 활동 수행) = 9M/M - 완료된 36개의 활동에 계획된 M/M
- AC(실제 투입된 인력) = 12M/M
- BAC(전체 일을 완료하는 데 할당된 인력) = 100M/M
- CV = EV - AC = -3
→ 즉, 계획 대비 3M/M에 해당하는 비용을 추가 투입해야 한다
- SC = EV - PV = -1
→ 계획한 것과 비교할 때 1M/M가 수행해야 하는 활동이 지연되었음을 뜻한다
- CPI = EV/AC = 0.75
→ 계획 대비 실적은 75%
- SPI = EV/PV = 0.9
→ 1M/M를 투입해 계획 대비 0.9M/M만큼 수행한 것
5) 미결 업무, 위험/이슈, 요청 사항에 대한 수행 결과를 정리하고 주간/월간 보고서를 작성
* 출처) 2021 공공데이터 청년인턴(일경험수련생) 전문교육 '일잘러를 위한 IT 프로젝트'
'IT knowledge > (etc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일정] 공정 정의하기 (0) | 2022.03.30 |
---|---|
[통합] 프로젝트 통제하기 (0) | 2022.03.29 |
[통합] 프로젝트 계획 수립하기 (통합관리 - 계획수립) (0) | 2022.03.27 |
[기획] 사업 발주하기 (0) | 2022.03.26 |
[기획] 제안 요청서 작성하기 (0) | 2022.03.26 |
댓글